본문 바로가기
3%의 핫뉴스

스마트폰 해킹 예방하는 기본 수칙 총정리

by 3%의 소금 2025. 4. 29.
반응형

스마트폰이 일상 필수품이 되면서 해킹 위험도 함께 커졌습니다. 비밀번호 설정부터 클라우드 보안, 무료 와이파이 사용 시 주의사항까지 기본만 지켜도 해킹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화이트 해커 '노말틱'님이 알려준 스마트폰 보안 핵심 팁을 정리해드립니다.


1. 스마트폰 비밀번호 설정은 기본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스마트폰은 잠금이 없는 금고와 같습니다. 주변에 비밀번호 설정을 안 한 사람이 있다면 반드시 설정을 권장하세요.


2. 클라우드 계정 보안 강화

클라우드에 사진을 백업해두는 건 편리하지만, 계정 보안이 약하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2단계 인증을 설정하고,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세요.


3. 신분증 유출 위험

신분증 사진이 해커 손에 넘어가면 대포폰 개통, 금융사기 등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백업 중 신분증 사진은 별도로 관리하거나 저장을 피하세요.


4. 무료 와이파이 사용 시 주의사항

공공 와이파이는 해커가 만든 가짜 와이파이일 수도 있습니다. 로그인 화면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고, 접속 시 https 보안 접속을 확인하세요.


5. 의심스러운 앱 설치 금지

문자나 링크를 통해 전달받은 APK 파일 설치를 요구하면 절대 실행하지 마세요. 공식 앱스토어를 통한 앱 설치만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유심(USIM) 락 설정하기

요즘은 유심 자체를 노리는 공격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설정에서 유심에 비밀번호를 설정해 추가 보안을 걸어두세요.


7. 꾸준한 보안 업데이트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보안 업데이트는 반드시 즉시 설치하세요. 최신 보안 패치가 없는 기기는 해킹 위험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8. 공용 와이파이 관리자 페이지 비밀번호 변경

공유기 설치 후 관리자 페이지 비밀번호를 꼭 변경해야 합니다. 초기 비밀번호(예: admin)는 누구나 알고 있어서 쉽게 접속당할 수 있습니다.


9. 웹캠, IoT 기기 보안 설정

웹캠, 홈캠 등 IoT 기기에도 비밀번호를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설정을 하지 않으면 외부에서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보안은 결국 "기본만 지키자"는 것입니다. 의심스러운 앱 설치 금지, 비밀번호 설정, 주기적인 업데이트. 이 세 가지만 철저히 해도 대부분의 해킹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